📱 디지털 교육, 지금부터 준비하자
– 나이와 상관없는 두 번째 성장의 시작
🌿 "배워야 한다는 걸 알지만, 어디서부터 시작해야 할지 모르겠어요"
60대 중반의 김OO 씨는 최근 손자와 영상통화를 하면서 당황스러움을 느꼈습니다.
스마트폰을 손에 쥐고 있지만, 앱을 깔고 설정하는 일이 어렵고, QR코드나 계좌이체 같은 디지털 기능은 늘 누군가에게 부탁해야만 하죠.
“그냥 살아도 괜찮지 않나?” 싶던 마음은,
한 순간 이런 생각으로 바뀌었습니다.
“나는 왜 나를 이 시대에 두고, 과거에 머무르게 했을까?”
이제는 디지털 격차가 곧 삶의 격차가 되어가는 시대입니다.
지금부터라도 디지털을 배워야 하는 이유, 그리고 어떻게 시작하면 좋을지,
중장년 세대를 위해 차근차근 풀어드립니다.
🧭 왜 지금, 디지털 교육이 필요한가?
1. 📉 “디지털 격차는 곧 사회적 고립으로 이어집니다”
- 2024년 통계청 발표에 따르면, 60세 이상 중 42%가 모바일 앱 사용에 어려움을 느낍니다.
- 스마트폰이 없는 것이 아니라, 활용하지 못하는 경우가 많습니다.
- 공공서비스, 병원 예약, 은행 업무, 대중교통까지 디지털 없이는 힘든 시대입니다.
2. 🔍 “배움이 늦은 것이 아니라, 접근법이 달랐을 뿐”
- 『마흔 이후, 나를 다시 배우다』에서 저자는 말합니다.
- “성장은 청춘만의 전유물이 아니다.
배움은 나이가 드는 것이 아니라, 멈추는 데서 끝난다.” - 시니어의 학습은 ‘정보 암기’보다 ‘이해와 체험’이 중심입니다.
스마트폰 사용법이 아니라, 내 삶에서 어떻게 쓸지를 배우는 것이 핵심입니다.
💡 디지털 교육, 이렇게 시작해보세요
1. 📲 “작은 성공 경험부터 시작하세요”
- 사진 찍기 → 사진 보내기 → 영상통화 → 캘린더에 일정 등록
- 소소한 성공을 경험하면 자신감이 생깁니다.
- 유튜브, Zoom, 카카오워크처럼 익숙한 플랫폼부터 접근하세요.
2. 🧓 “시니어 디지털 교육센터를 활용하세요”
- 지역 평생학습관, 노인복지관, 디지털배움터 등
무료로 교육을 제공하는 기관이 많습니다. - 1:1 스마트폰 멘토링, 키오스크 사용법, 스마트 뱅킹까지 단계별로 배울 수 있습니다.
3. 💬 “배움의 이유를 명확히 하세요”
- 손자와 영상통화 하고 싶어서
- 동호회 일정 공유를 하고 싶어서
- 건강 앱으로 혈압/걸음수 체크하고 싶어서
실생활에서 바로 쓸 수 있는 목표가 있으면 동기부여가 훨씬 강합니다.
🔧 디지털에 강해지는 5가지 루틴
1. 하루 한 번, 스마트폰 기능 하나 익히기 | 예: 캘린더 등록, 음성메모 사용 |
2. 디지털 단어 노트 만들기 | QR, URL, 앱, 로그아웃 등 정리 |
3. ‘디지털 동료’ 만들기 | 친구와 함께 배우면 지속성 UP |
4. 유튜브로 예습하고 실습 | "키오스크 사용하는 법" 검색 실습 |
5. SNS로 가족과 소통해보기 | 카톡채널, 밴드, 인스타그램 등 활용 |
📚 디지털을 배우는 사람, 성장하는 사람
삼성전자 전 회장 권오현은 『초격차』에서 이렇게 말했습니다.
“평생 학습하지 않으면
기술은 당신을 가차 없이 밀어낸다.”“AI와 자동화의 시대, 결국 기본이 강한 사람이 살아남는다.”
디지털은 더 이상 선택이 아닙니다.
**누구와 연결되고, 어떤 정보를 다루며, 어떻게 일상을 살아가느냐를 결정짓는 ‘기술의 글씨’**입니다.
✨ 지금부터 준비하면, 무엇이 달라질까요 ?
✅ 혼자서 병원 예약도 하고
✅ 동호회 활동도 쉽게 공지하고
✅ 금융사기에도 현명하게 대처하고
✅ 자녀에게 의존하지 않고 스스로 정보 검색하고
✅ 새로 배운 것을 후배 시니어에게 나눌 수 있습니다.
디지털을 아는 순간, 세상이 조금 더 가까워지고
삶은 한층 더 주체적이 됩니다.
🎁 마무리하며 – "지금부터, 나의 두 번째 학교에 입학합니다"
나이는 숫자일 뿐이라는 말이 있지만,
배움을 시작하는 용기는 숫자보다 더 위대한 지표입니다.
오늘 이 글을 읽는 여러분은
이미 첫 발을 내디딘 사람입니다.
이제 ‘디지털’이라는 낯선 세계를
조금씩 내 삶으로 가져오세요.
그리고 여러분은 말하게 될 겁니다.
“이제는 내가, 디지털을 활용하는 사람입니다.”
'1. 문학(책 한 권의 위로)' 카테고리의 다른 글
『리딩으로 리드하라』 – 인문고전으로 세상을 리드하는 법 (2) | 2025.08.01 |
---|---|
『꿈꾸는 다락방』 – 생생하게 꿈꾸면 삶이 달라진다 (2) | 2025.08.01 |
『바람이 분다 당신이 좋다』 – 아무렇지 않은 일상 속 당신으로부터 시작된 감각 (1) | 2025.07.31 |
『그런 하루』 – 사소한 하루 속에도 서사가 있다 (3) | 2025.07.31 |
『어느 날 나는 흐린 주점에 앉아 있을 거다』 – 삶의 회한과 위로를 위한 시집 (3) | 2025.07.31 |