본문 바로가기
1. 문학(책 한 권의 위로)

『떨림과 울림』 – 물리학자의 다정한 우주 읽기

by holysim100 2025. 7. 29.
반응형

떨림과 울림 - 물리학자의 다정한 우주 읽기 !

 

🌌 『떨림과 울림』 – 물리학자의 다정한 우주 읽기

 

왜 이 책이 특별한가요 ?

  •   김상욱 교수는 일반인에게 물리를 가장 친근하고 따뜻하게 전하는 대표적 물리학자입니다.
  •   이 책은 빛, 시공간, 원자, 양자, 에너지, 진동 등에 담긴 물리학의 핵심 개념을 인문적 시선과 연결해 담백하게 풀어낸 교양 과학서입니다
  •   제목의 ‘떨림’(진동)과 ‘울림’(공명)은 과학적 현상을 통해 인간의 설렘과 공감을 연결하는 메타포로 사용됩니다 

📘 핵심 요약 

  1. 우주의 뿌리, 빛과 시공간
    •    빅뱅 이후 빛과 물질이 분리되며 시공간이 발생했고, 빅뱅 우주배경복사는 그 흔적입니다 
    •    상대성이론은 빛의 속도가 일정하다는 사실로 시간과 공간의 휘어짐을 의미하며, 이는 우리가 경험하지 못하는 직관 너머의 세계입니다
    •    원자와 전자 – 존재의 기본 조각
    •    우리뿐만 아니라 모든 사물은 원자로 구성되어 있고, 전자의 궤도는 고유진동수를 만들어냅니다 
    •    양자역학은 전자를 파동 또는 입자로 설명하며, 관찰이 대상의 상태를 바꾼다는 불확실성을 강조합니다 
  2. 진동의 세계 – 떨림과 울림
    •    모든 물질은 고유진동수를 가지며, 동일한 진동수의 자극이 ‘공명’을 일으킵니다 
    •    단진동 개념은 우주의 리듬이자 기본적인 물리 현상의 본질이라고 할 수 있습니다.
  3. 엔트로피와 시간의 흐름
    •    물리 법칙 중 시간 방향이 있는 유일한 법칙은 엔트로피 증가 법칙으로, 이는 우주가 ‘되돌릴 수 없는 방향’을 갖는다는 의미입니다 
  4. 에너지·대칭성·운동의 원리
    •    에너지는 보존되며 전환됩니다. 질량과 암흑물질, 뇌터 정리가 설명하는 대칭성의 의미와 통일을 향한 이론은 과학의 아름다움을 보여줍니다 
  5. 과학은 태도
    •    저자는 과학이 단순한 지식 전달을 넘어 무지를 인정하고, 증거에 기반하며, 끊임없이 의심하는 태도라고 강조합니다 

💡 삶에 전하는 세 가지 통찰

1. 우리는 보이지 않는 진동의 일부다

우주의 근본은 떨림이며, 이것이 인간, 자연, 물질 모두에 연결과 공명을 실현합니다.

  •   내가 느끼는 설렘, 공감, 감정 역시 물리적 리듬과 닮았다는 깨달음이 주는 위로.

2. 과학은 ‘모른다’고 말할 줄 아는 용기다

양자역학의 불확실성과 엔트로피의 흐름처럼,

  •   증거가 없다면 인정하지 않고,
  •   증거 앞에 유연한 태도로 직면하는 진정한 과학적 태도는 일상의 불확실에도 적용됩니다.

3. 물리학은 세계와 나를 다시 바라보게 한다

  •   원자·시공간·에너지·대칭 같은 개념들이
  •   우리의 일상, 관계, 삶, 죽음까지 넓은 시야로 확장되는 경험이 됩니다.

 

🧓 중장년 독자에게 주는 울림

  •   인생 2막을 고민하는 중장년에게 이 책은
    •   지식이 아닌 태도를 통해 삶을 재정렬할 수 있게 돕습니다.
  •   생로병사, 인간관계, 존재의 의미를 물리학이라는 완전히 새로운 언어로 재해석하며 폭넓은 성찰의 기회를 제공합니다.

🖋 마무리 – 우주와 나 사이, ‘떨림’이 이어질 때

『떨림과 울림』은
👉 차갑고 복잡한 물리학을 따뜻한 언어로 풀어낸 책입니다.

  •   우주는 곧 떨림이며,
  •   그 떨림은 우리의 심장, 생각, 감정과 공명할 수 있습니다.

“물리는 지식이 아니라 태도다.”
모른다는 것부터 인정하고, 증거를 통해 세계와 마주하자.

 

오늘, 마음이 떨리는 어떤 경험이 있다면,
그것은 곧 당신 삶의 울림이자 우주의 일부입니다.

반응형